엔트로피와 확률
by 인생은아트 2019. 7. 29. 20:03
고등 교과서
물리2
자연 현상의 비가역성과 확률
자연 현상이 비가역적으로 진행하면서 엔트로피(무질서도)가 증가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
해 보자.
[미니 탐구] 자연 현상의 비가역성과 확률
그림 ㉮와 같이 두 개의 방 A, B로 구분된 용기의 방 A에 N개의 기체를 채우고 방 B는 진공으로 한 다
음 밸브를 열면, 잠시 후 그림 ㉯와 같이 기체가 두 방에 고르게 분포하게 될 것이다.기체 분자들의 운동은 무질서하므로 각 분자들이 한쪽 방에 존재할 확률은 각각 이다. 따라서 기체
분자들이 방 A에만 모여 있을 확률은 이다. P는 기체 분자 수가 많을수록 작아진다. 실제로
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분자 수는 1023개(1 mol 수준) 정도이므로 P는 0에 가깝고, 이러한 일은 결코 일
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.
ⓒ (주)천재교육 | BY-NC-ND
Q1. 기체 분자가 어느 한쪽 방에 존재할 확률과 양쪽 방에 골고루 존재할 확률 중 어느 쪽이 더 큰가?
양쪽 방에 골고루 존재할 확률이 더 크다.
Q2. 비가역적인 자연 현상이 진행하는 방향을 확률로 설명해 보자.
비가역적인 자연 현상은 확률이 큰 쪽으로 진행한다. 이는 곧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쪽으로
진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.
기체 분자들이 좁은 영역에 모여 있을 수 있는 상태의 수보다 넓은 영역에 퍼져 있을 수 있는 상태의
수가 훨씬 더 많다. 그래서 기체 분자들이 한쪽 방에 모여 있을 때의 엔트로피보다 양쪽 방에 퍼져 있
을 때의 엔트로피가 훨씬 더 크다. 즉, 기체 분자들은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쪽으로 퍼져 나간다.양쪽 방으로 흩어진 기체 분자들을 다시 한쪽 방으로 모으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에너지를 투입하여야
한다. 즉, 외부 에너지로 기체 분자를 한쪽 방으로 모아 주는 일을 해 주면 엔트로피를 줄일 수 있다.
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외부에서 투입된 에너지까지 포함한 전체 엔트로피는 감소하지 않는다.
관련문제
1. 철수
2. 민수
3. 철수, 영희
4. 영희, 민수
5. 철수, 영희, 민수
난이도 상
02.그림과 같이 외부로부터 단열시킨 상자를 칸막이로 반씩 나누어 한쪽에만 이상 기체를
채웠다. 이 칸막이를 치웠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만을 〈보기〉에서 있는 대로
고른 것은?
ㄱ. 온도는 변하지 않는다.ㄴ. 내부 에너지는 증가한다.ㄷ. 외부에 일을 해 준다.ㄹ. 비가역 과정이다.
1. ㄱ, ㄷ
2. ㄱ, ㄹ
3. ㄴ, ㄷ
4. ㄴ, ㄹ
5. ㄷ, ㄹ
태양계 행성 크기 비교
2019.09.12
엔트로피가 지배하는 세상
2019.07.29
열역학 제2법칙
우리 눈에 숨겨진 놀라운 비밀!
2018.05.31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
댓글 영역